폐색성 수면무호흡증 방치하면 심혈관질환 위험 및 사망률 증가
강동경희대병원 신원철 신경과 교수 “국내 유일 수면장애 맞춤형 치료 가능”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계속해서 늘고 있다. 수많은 수면장애 중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할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증가와 사망까지 이를 수 있어 환자에게 맞는 치료가 필요하다.

수면장애로 삶의 질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0년 46만여명에서 2015년 72만여명으로 5년 새 약 56% 증가했다.

특히 2015년에 여성(42만7000여명)이 남성(29만1000여명)보다 약 1.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픽사베이


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여성은 임신과 출산, 갱년기 등의 영향으로 남성보다 수면장애가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며 “특히 폐경에 접어들면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수면과 관련 있는 신경전달 물질 분비가 저하돼 밤에 잠이 들지 못하거나 새벽에 자주 깨는 등 불면증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폐색성 수면무호흡증 방치하면 심혈관질환 심각

수면장애는 단순히 잠이 들지 못하는 불면증뿐만 아니라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등 다양한 질병이 모두 포함한다.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은 과도한 주간 졸음을 유발하고 낮 동안 정상 신체기능과 업무 효율을 저해시킨다.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발생하는 상기도의 반복적인 허탈로 나타나는 무호흡 또는 저 호흡을 일컫는다. 치료를 방치할 경우 장기적으로 심혈관질환의 위험 및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폐색성 수면무호흡증 정도에 따른 심혈관질환 누적 발생율(강동경희대병원 제공)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심혈관질환 발생으로 인한 사망률이 자연 발생(대조군)보다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을 가진 사람이 약 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속적양압치료를 받을 경우 자연 발생과 비슷해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뇌졸중 또는 심근경색이 있으면서 폐색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할 경우 사망률이 각각 2배, 4배였다.

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로 정확한 수면 상태와 수면무호흡의 정도, 그리고 심각한 정도를 평가하여 최적화된 치료법을 찾아야 한다”며 “하지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주로 잘 때만 혀 근육이 쳐져서 기도를 막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보다 지속적양압치료(CPAP)나 구강 내 장치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다양한 연구에서 기존 지속적양압치료 외에도 구강 내 장치나 일부 약물치료만으로도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는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혀 근육을 조절하는 설하신경을 미세한 전기자극으로 혀 근육 긴장도를 유지하는 설하신경자극술도 개발됐다.

하지만 이런 다양한 치료법들이 모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 똑같이 적용될 수 없으므로 각각 환자의 특징과 원인에 따라 맞춤형 치료법을 적용해야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현재 맞춤형 치료법은 신원철 교수가 국내에서 유일하다.

신 교수는 “그동안 지속적양압치료가 건강보험에 적용되지 않아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어 건강보험 적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그 결과 올해 안으로 수면다원검사와 지속적양압치료가 건강보험 적용이 예상돼 앞으로 많은 환자가 경제적 부담 없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